인흥군 (왕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흥군은 조선 선조의 서자이자 정빈 민씨의 아들로, 왕족이다. 부인은 여산 송씨 송철현이며, 낭선군 우, 낭원군 간을 두었다. 저서로 《선군유권》이 있으며, 묘소는 경기도 포천시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51년 사망 - 홋타 마사모리
홋타 마사모리는 하급 무사 출신으로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유모 가스가노츠보네와의 인척 관계를 통해 로쥬까지 오른 다이묘로, 이에미쓰 사망 후 순사하여 충절의 상징으로 여겨지지만 출신 배경에 대한 논쟁 또한 존재하는 인물이다. - 1651년 사망 - 아이신기오로 아지거
아이신기오로 아지거는 청나라 초기의 황족이자 군사가로, 누르하치의 아들이며 홍타이지의 이복동생이자 도르곤의 이복형으로, 용맹하고 전투에 능하여 영친왕에 봉해졌으나 도르곤 사후 모반 혐의로 숙청되었다. - 조선 선조의 자녀 - 광해군
광해군은 조선 제15대 국왕으로, 임진왜란 중 세자로 책봉되어 전란 수습에 기여하고 즉위 후 대북파를 등용, 일본과 기유약조를 맺고 후금과의 관계 개선을 추진했으나 인조반정으로 폐위되었으며, 대동법 시행, 『동의보감』 편찬 등의 업적과 폐모살제 등의 논란으로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 조선 선조의 자녀 - 흥안군 (1598년)
흥안군 이제는 선조의 열번째 서자이자 활달한 성격의 왕자였으나, 이괄의 난에 연루되어 국청 없이 처형되었고, 위성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나 작위와 시호는 철회되었으며, 묘소는 사라졌지만 흥안대로라는 지명으로 남아있다. - 1604년 출생 - 요한 루돌프 글라우버
요한 루돌프 글라우버는 독일의 약사이자 화학자, 초기 화학 공학자로서 황산나트륨을 발견하고 염산 등을 합성했으며, 케미컬 가든을 최초로 관찰, 기록하고 40권의 책을 저술했다. - 1604년 출생 - 권시
조선 중기 문신이자 학자인 권시는 효종 때 공조좌랑으로 등용되어 승정원 승지, 한성부 우윤 등을 역임했으나, 상복 문제 당쟁으로 파직 후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썼고 사후 의정부 좌찬성으로 추증, 도산서원에 배향되었다.
인흥군 (왕족)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인흥군 |
한자 표기 | 仁興君 |
휘 | 이영 (李瑛) |
출생일 | 1604년 2월 7일 (음력) |
사망일 | 1651년 11월 25일 (음력) |
부친 | 선조 |
모친 | 정빈 민씨 |
배우자 | 군부인 송철현(宋哲賢) |
자녀 | 2남 2녀 |
작위 | 조선 선조의 왕자 |
2. 가계
선조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정빈 민씨이다. 형제로는 인성군, 정인옹주, 정선옹주, 정근옹주가 있다. 부인은 송철현으로 호성군 송희업의 장녀이다.[1] 슬하에 2남 2녀를 두었으며, 양첩 말환에게서 서녀 이천렬을 두었다.
2. 1. 아버지와 어머니
2. 2. 형제자매
2. 3. 부인과 자녀
인흥군은 송철현(1608 ~ ?)과 혼인하였다. 송철현은 호성군 송희업의 장녀이다.[1] 인흥군은 슬하에 2남 2녀를 두었으며, 양첩 말환에게서 서녀 이천렬을 두었다.구분 | 이름 | 생몰년 | 기타 |
---|---|---|---|
부인 | 송철현 | 1608년 ~ ? | 호성군 송희업의 장녀 |
장남 | 낭선군 우 | 1637년 ~ ? | |
며느리 | 미상 | ? ~ ? | 증 판서 성운한의 딸 |
며느리 | 미상 | ? ~ ? | 증 판서 이세미의 딸 |
며느리(양첩) | 도숙 | ? ~ ? | |
며느리(측실) | 승화 | ? ~ ? | 노비 출신 |
차남 | 낭원군 간 | 1640년 ~ ? | |
장녀 | 전주 이씨 | 1644년 ~ ? | 양주 조씨 조태개에게 출가 |
차녀 | 전주 이씨 | 1648년 ~ ? | 한산 이씨 이수문에게 출가 |
양첩 | 말환 | ? ~ ? | |
서녀 | 이천렬 | 1625년 ~ ? | 파평 윤씨 윤민성에게 출가 |
장남 낭선군 우는 증 판서 성운한의 딸, 증 판서 이세미의 딸과 혼인하였으며, 양첩 도숙과 측실 승화를 두었다. 낭선군 우는 양첩 도숙에게서 서손자 성평군 탁을 보았는데, 성평군 탁은 능풍군 이명에게 출계하였다. 또한 측실 승화에게서 서손녀 이임과 서손자 성창군 유를 두었다.
차남 낭원군 간은 슬하에 전평군 곽, 전성부정 준, 전성군 혼, 전계군 부, 전산군 심, 이종열, 이극열, 전천군 척, 전안군 황, 청림군 담, 청양군 용, 청녕수 수를 두었다. 이 중 전평군 곽은 백부인 낭선군 우에게 출계하였다.
장녀는 양주 조씨 조태개와 혼인하였고, 차녀는 한산 이씨 이수문과 혼인하였다. 양첩 말환에게서 얻은 서녀 이천렬은 파평 윤씨 윤민성과 혼인하여 윤필창, 윤숙경, 윤필경, 윤필명, 윤필수를 낳았다.
3. 저서
4. 묘소
인흥군 묘 및 신도비는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양문리에 있다. 1986년 4월 9일 포천시의 향토유적 제28호로 지정되었다.
5. 기타
그의 아들 낭선군은 아버지 인흥군이 남긴 글과 각종 필적(筆跡)을 정리하는데 무척 공을 들였다고 한다.
조카 해원군 이건은 그가 남긴 글씨와 서예작, 그림 등을 모아 숙부인흥군가장(叔父仁興君家狀)을 엮었다.
6. 관련 항목
- 조선 광해군
- 조선 원종
- 인흥군 (동명이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